전세보증보험 HUG vs SGI 어떤 게 나을까?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지갑 지킴이 해피바이러스입니다.
제가 여기에 쓰는 글은 거의 제 경험에서 나온 글이기도 한데요.
오늘은 전세보증보험 가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세 보증보험을 취급하는 곳은 크게 HUG와 SGI가 있는데요,
물론HF도 있긴 하지만 조건이 까다로우니 오늘은 HUG와 SGI 만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두 곳이 보험료도 많이 다르고 조금씩 차이가 있거든요.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느 쪽에 가입하는 게 더 유리한지 한 번 살펴볼게요.
🏠 전세보증보험이란?
전세보증보험은 세입자(임차인)가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HUG(주택도시보증공사)나 SGI서울보증이 대신 전세금을 돌려주는 제도이다.
쉽게 말해서, 집주인이 돈을 못 돌려줘도 보험사가 물어준다는 뜻.
👤 가입 대상
- 전세계약한 세입자 누구나 가능 (단, 집주인(임대인)이 임대사업자면 집주인이 가입)
- 집이 단독주택, 다가구, 다세대, 아파트, 오피스텔 등 대부분 가능
- 전세보증금이 수도권 7억 원 이하 / 지방 5억 원 이하 (기관마다 다름_아래에서 설명)
- 전세계약 기간 내 절반 이상 남아 있어야 가입 가능
예: 2년 계약이면 1년 이상 남아 있어야 가입 가능
💸 보험료는 얼마?
- 보험료는 전세보증금 × 약 0.1~0.2% 수준 (1년에 몇 십만 원 정도)
- 소득에 따라 할인도 있음!
예: 사회초년생, 청년, 다자녀 가구, 신혼부부 등은 보험료 70~90% 할인도 가능
📋 가입 절차
- 전세계약서와 확정일자, 전입신고 완료
- 보험사(예: HUG, SGI서울보증)에 보증 신청
- 보증 심사 (집 상태, 등기부등본 등 확인)
- 보험료 납부 후 보증서 발급
🛡️ 보험을 들어두면 좋은 이유
전세금 못 돌려받을 경우 | 보험사에서 먼저 돌려줌 | 소송 등 직접 대응 필요 |
깡통전세 위험 | 보장 가능 | 본인 피해 가능성 큼 |
안심거주 | 높음 | 불안정 |
🔍 대표 보증기관 비교
정부기관 | O | X (민간) |
보증료율 | 상대적으로 낮음 | 약간 높음 |
보증한도 | 수도권 7억 / 지방 5억 | 동일 또는 유사 |
처리속도 | 조금 느림 | 상대적으로 빠름 |
❗주의할 점
- 보증보험 만료 전에 연장 안 하면 보호 못 받아!
- 등기부등본 확인해서 근저당, 가압류, 경매 같은 권리관계 꼼꼼히 체크
- 집주인의 동의 없이도 가입 가능하지만 일부 기관은 동의 요구할 수 있음
★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VS SGI서울보증★
🏢 기관별 비교
1.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 보증금 한도:수도권 7억 원 이하, 지방 5억 원 이하
- 보증료율: 아파트 기준 연 0.128%
- 가입 조건:
- 전세 계약 기간이 1년 이상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보유
- 선순위 채권이 주택 가격의 90% 이하
- 장점:
- 보증료율이 상대적으로 저렴
- 공공기관으로서 안정성 높음
- 단점:
- 보증금 한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2. SGI서울보증
- 보증금 한도: 제한 없음 (아파트 기준)
- 보증료율: 아파트 기준 연 0.192%
- 가입 조건:
- 전세 계약 기간이 1년 이상
-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보유
- 선순위 채권이 주택 가격의 90% 이하
- 장점:
- 보증금 한도에 제한 없음
- 단점:
- 보증료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만약 전세보증금 3억 원, 2년 계약 기준이라면?
기관 | 보증료율 | 연간 보증료 | 2년간 보증료 |
HUG | 0.128% | 384,000원 | 768,000원 |
SGI | 0.192% | 576,000원 | 1,152,000원 |
✅ 결론
HUG가 보증료율이 낮아 경제적 부담이 적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안정성이 높아 더 적합.
단, HUG는 보증금 7억까지 가입 가능하므로 7억이상일 시 SGI 선택.
같은 금액임에도 허그가 훨씬 저렴한 걸 확인할 수 있죠?
저도 처음에 SGI 상품 알아보다가 HUG로 선택해서 가입했습니다.
참고로 HUG 상품 가입은 네이버 페이-> 부동산 금융-> 전세보증-> 세입장 또는 임대사업자 선택-> 가입하기
순으로 하시면 쉽고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1. 네이버 페이에서 부동산 금융 클릭
2. 전세보증 -> 세입자 또는 임대사업자 선택-> 가입하기
이렇게 하면 보증 보험 가입이 완료됩니다.
전세금은 억 단위의 돈이 거래되는 만큼 다들 잘 알아보시고 계약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돈을 돌려 받을 수 있는 안전장치인 보험가입도 잘 비교해 보시고요. :)
오늘도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이 궁금하다면↓ ↓ ↓ ↓ ↓
https://happy-virus81.tistory.com/906
정부지원 전세자금 대출 종류와 신청
내 집마련 전까지 전세나 월세로 집을 구할 수 밖에 없는데 전세금도 만만치 않죠?오늘은 시중 은행보다 저렴한 이자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는 정부지원 전세대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정
happy-virus8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