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업급여 신청 조건
실업급여는 자발적 퇴사가 아닌 비자발적인 이직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이직은 해당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은 사유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 권고사직, 계약만료, 폐업 또는 휴업
- 질병·부상,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휴직
- 부당 해고 또는 중대한 사유로 인한 퇴직
신청 자격은 다음 세 가지 요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 이직 전 18개월 이내 180일 이상 가입
- 비자발적 퇴사: 본인 사유가 아닌 퇴직
- 구직 의사와 능력: 수급 기간 동안 적극적인 구직활동 증빙
수급 기간 기준
수급 기간은 근무 경력과 나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피보험기간이 길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수급일수도 늘어납니다.
연령 구분 | 1년 미만 | 1년~3년 미만 | 3년~5년 미만 | 5년~10년 미만 | 10년 이상 |
---|---|---|---|---|---|
50세 미만 | 120일 | 15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12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270일 |
※ 모바일에서는 표를 좌우로 스크롤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하며, 2025년 기준 1일 상한액은 66,000원, 하한액은 64,192원입니다. 예를 들어, 월 평균 280만 원을 받던 50세 미만 근로자가 1년 6개월 근속 후 퇴사했다면:
- 수급 일수: 150일
- 예상 수령액: 약 960만 원
정확한 금액을 알고 싶다면?
👉 네이버 검색창에 ‘실업급여 계산기’를 검색하고, 퇴직 전 평균 급여 및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입력하면 예상 금액이 나옵니다.
마무리 안내
실업급여는 단순히 쉬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을 위한 버팀목**이 되어야 합니다. 조건을 충족하는 분들이라면 꼭 활용하시고, 수급 기간 동안 구직활동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소상공인·노인을 위한 정부지원금 8가지 총정리 (1) | 2025.06.28 |
---|---|
2025 전국민 민생지원금 얼마나 받을까? (3) | 2025.06.18 |
국민건강보험공단 산정특례제도, 꼭 알아야 할 혜택과 신청법 (3) | 2025.05.02 |
국세청 세금 환급 방법( 원클릭 환급 신고) (0) | 2025.04.22 |
정부지원 주택담보대출 종류와 금리 (1) | 2025.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