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중위소득 30% 40% 50% 100% 복지별혜택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정부지원금

2025년 중위소득 30% 40% 50% 100% 복지별혜택

by Happy Viru스 2025. 4. 7.

정부 지원금이나 복지 혜택을 누릴 때 항상 붙는 조건이 있죠?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각 혜택마다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인지를 조건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가구원 별 중위소득이 얼마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평균 6.42% 인상되어 역대 최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이는 물가 상승과 소득 불균형을 반영한 결과로, 저소득 가구를 위한 다양한 복지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2025년 4인 가구 기준으로 6,097,773원입니다.

이는 2024년 대비 약 6.4%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복지 지원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위소득의 32%는 생계급여 선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4인 가구의 경우 약 1,951,287원입니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저소득 가구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자세한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과 복지 지원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원/월)

 

1인 2,392,013
2인 3,932,658
3인 5,025,353
4인 6,097,773
5인 7,108,192
6인 8,064,805

이러한 기준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복지 제도의 수급자 선정에 활용되며,

소득 수준에 따라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생계급여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3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에게 지원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30% 이하에 해당하는 소득 기준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이므로,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의 30%인 1,829,332원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각 가구원 수별 생계급여 수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 중위소득 30% (원/월)
1인 717,604
2인 1,179,798
3인 1,507,606
4인 1,829,332
5인 2,132,457
6인 2,419,441

따라서, 중위소득의 3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가 생계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

 


2.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중위소득의 4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에게 지원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2025년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각 가구원 수별 의료급여 수급 기준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입니다. 이 가구가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의 40%인 2,439,109원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각 가구원 수별 의료급여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 중위소득 40% (원/월)

 

1인 956,805
2인 1,573,063
3인 2,010,141
4인 2,439,109
5인 2,843,276
6인 3,225,922

따라서, 중위소득의 4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가 의료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3.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중위소득의 45%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에게 지원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이므로,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의 45%인 2,744,000원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각 가구원 수별 주거급여 수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 중위소득 45% (원/월)
1인 1,077,406
2인 1,772,695
3인 2,263,415
4인 2,744,000
5인 3,195,684
6인 3,627,163

따라서, 중위소득의 45%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가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에게 지원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교육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이므로, 교육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의 50%인 3,048,887원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서울런 프로그램은 중위소득 60%이하면 가능)

각 가구원 수별 교육급여 수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 (원/월)
1인 1,196,006
2인 1,966,329
3인 2,523,887
4인 3,048,887
5인 3,554,096
6인 4,032,403

따라서,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가 교육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급여>

 


 

생각보다 많은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다양한 혜택들이 있으니

우리 가족의 소득과 가구수 확인하여 받을 수 있는 혜택과 지원금 잘 챙기시길 바라겠습니다.

해마다 중위소득도 높아지고 있으니 매년 금액 확인은 필수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