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구입할 때 내 돈 100%로 사는 사람은 거의 없죠?
아 물론, 간간히 신문 기사에서 누가누가 100억 현금으로 샀다더라 하는 기사 보긴 했습니다. ㅜㅜ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돈과 은행 돈을 합쳐야 주택 구입이 가능한데요.
오늘은 조금이라도 싸게 돈을 빌릴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집을 담보로 잡고 돈을 빌리는 대출인데, 종류가 꽤 다양합니다.
목적이나 금리 방식, 정부 지원 여부 등에 따라 나뉘는데요
아래에 대표적인 종류들을 정리해도록 하겠습니다.
🏠 주택담보대출의 주요 종류
1. 일반 주택담보대출
- 금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취급하는 대출
- 조건은 금융사별로 다르고, 신용도·소득·담보가치에 따라 대출 한도 및 금리가 결정됨
- 고정금리/변동금리 선택 가능
2. 정책(정부 지원) 주택담보대출
서민이나 실수요자를 위한 대출로, 금리가 낮고 조건이 유리해. 대표적인 것들:
✅ 보금자리론 (한국주택금융공사)
- 고정금리 장기대출
- 최대 40년 상환
- 무주택자 또는 1주택자 대상
- 연소득 기준, 주택가격 기준 있음
- 정부의 장기 고정금리 정책 상품
- 2025년 2월 기준 기본금리_ 10년 만기 :연 3.65% / 50년 만기 : 연 3.95%
- 우대 금리 적용 : 저소득청년, 신혼가구, 사회적배려층(장애인·한부모 가정 등), 전세사기피해자 등이 추가 우대금리(최대 1.0% 포인트)를 적용받을 경우, 최저 연 2.65%~2.95%의 금리가 적용
✅ 디딤돌대출 (주택도시기금)
-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
- 주택가격 5억 이하, 대출한도 2억 이하
- 고정 또는 혼합금리
- 실수요자 중심
- 2025년 3월 기준 기본 금리 (고정금리 또는 5년 단위 변동금리)
- 우대 금리 적용: 자녀 수, 청약저축 가입 여부 등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가능 ( 자세한 내용은 한국주택금융공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 참고로, 2025년 3월부터 수도권의 디딤돌대출 금리가 소폭 인상되어, 기존의 2.65%~3.95%에서 2.85%~4.15%로 조정
부부합산 연소득 | 10년 | 20년 | 30년 | 50년 |
2,000만 원 이하 | 2.65% | 2.75% | 2.85% | 2.90% |
2,000만 원 초과 ~ 4,000만 원 이하 | 3.00% | 3.10% | 3.20% | 3.25% |
4,0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 | 3.35% | 3.45% | 3.55% | 3.60% |
7,000만 원 초과 ~ 8,500만 원 이하 | 3.70% | 3.80% | 3.90% | 3.95% |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및 신혼가구 우대 금리>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및 신혼부부 합산 연소득 | 10년 | 20년 | 30년 | 50년 |
2,000만 원 이하 | 2.35% | 2.45% | 2.55% | 2.60% |
2,000만 원 초과 ~ 4,000만 원 이하 | 2.70% | 2.80% | 2.90% | 2.95% |
4,000만 원 초과 ~ 7,000만 원 이하 | 3.05% | 3.15% | 3.25% | 3.30% |
7,000만 원 초과 ~ 8,500만 원 이하 | 3.40% | 3.50% | 3.60% | 3.65% |
** 좀 더 나의 상황에 맞게 대출을 알아보고 싶다면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의 '예상대출조회' 서비스를 이용하시거나,
가까운 은행(국민, 농협, 신한, 우리, 하나, 부산, 대구) 지점을 방문하여 상담하는 것을 권합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예상대출 조회 서비스 바로 이동↓ ↓ ↓ ↓ ↓ ↓
주택담보대출 찾기 | 주택담보대출 | 한국주택금융공사
www.hf.go.kr
3. 전환/대환 대출
- 기존 대출의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른 조건의 대출로 갈아타는 것
- 예: 변동금리 → 고정금리로 전환
4. 생활안정자금 목적 대출
- 집을 담보로 생활비나 사업자금 등을 대출
- 주택을 담보로 하지만, 집 구매가 목적이 아닌 대출
💡 금리 방식에 따른 분류
고정금리 | 대출 기간 동안 금리가 변하지 않음 |
변동금리 | 기준금리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변동 |
혼합금리 | 초반 몇 년은 고정, 이후 변동으로 전환됨 |
집 값도 비싸지만 대출 이자도 만만치 않은 시기입니다.
그래도 집을 살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일 아니겠어요?
이 글 읽으시는 모든 분들 좋은 집 매수하셔서 부자~ 되세요! :)
▶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이 궁금하다면↓ ↓ ↓ ↓ ↓
https://happy-virus81.tistory.com/906
정부지원 전세자금 대출 종류와 신청
내 집마련 전까지 전세나 월세로 집을 구할 수 밖에 없는데 전세금도 만만치 않죠?오늘은 시중 은행보다 저렴한 이자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는 정부지원 전세대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정
happy-virus81.tistory.com
'재테크 >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보험공단 산정특례제도, 꼭 알아야 할 혜택과 신청법 (3) | 2025.05.02 |
---|---|
국세청 세금 환급 방법( 원클릭 환급 신고) (0) | 2025.04.22 |
정부지원 전세자금 대출 종류와 신청 (2) | 2025.04.11 |
2025년 중위소득 30% 40% 50% 100% 복지별혜택 (4) | 2025.04.07 |
2027년까지 친환경차 통행료 감면! 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차 할인 총정리 (2) | 2025.02.14 |
댓글